-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of Assumption of Spontaneous Perception Change on the Mechanism of Insigh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민(Lee, Kyoungmin) 임웅(Lim, Wo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899~91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통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의 지각의 역할과 지식의 역할을 분리하는 설계를 통해, 통찰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지각의 전환이 자발적으로 발생할수 있는지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지각의 자발적 전환은 통찰 문제의
해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히려 문제의 해결에는 지식이 관여된다는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창의적 문제 해결이 형태주의 심리학자들의 주장과 달리일반적인 문제 해결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지지하는 결과로, 본 연구는 창의적인 문
제 해결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밝힘으로써, 창의 관련 교육의 실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hange of perception can occur voluntarily in solving the insight problem through the design which separates the role of perception and the role of knowledge in solving the insight problem.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voluntary conversion of percep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lution of insight problems, but knowledge is involved in solving problems. This suggests that creative problem solving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general problem solving, unlike the claims of the Gestalt psychologists. This study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 of creativity education by more precisely
identif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We think that there is significance in poi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