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ppreciation Education on the Appreciation of Urban Culture in the Genre Paintings of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명선(Park, MyungS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481~49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미술감상 교육은 창의적 생활을 위한 기초적 정신활동이며 미술품에 담긴 역사적 사실과 고증을 기본으로 현재의 자신을 대입하거나 감정을 이입하는 새로운 창작활동이어야 한다. 이와 같은 미술감상 교육의 기본을 이해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후기에 독자적 화풍을 구축한 풍속화(風俗畵)를 중심으로 새로운 감상교육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풍속화는 사람이 살아온 과거의 흔적이므로 풍속화를 정확히 이해하고 감상하는 방법은 그림에 표현되거나 등장한 인물의 상태를 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고증을 통해 감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는 풍속화를 단순히 시대적 상황에 대한 감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선 후기의 도시문화 환경에 속한 인간의 삶이 방식과 상태는 다르지만 문화를 접하는 정신이 과거나 현재나 미래가 대동소이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출발하였다. 따라서 과거의 도시문화 환경에서 제작된 조선 후기의 풍속화를 중심으로 현재의 감상태도를 이입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감상교육의 측면이라는 입장과 함께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창의적 사유방식을 개발하고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a basic mental activity for creative life, and it should be a new creative activity to substitute the present self or empathize based on the historical facts and knowledge of art. Understanding the basic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viewpoint of new appreciation education centered on genre painting that builds independent style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Since genre painting is a trace of a person s past, it is desirable to appreciate the method of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genre paintings through the examination of historical facts centered on the state of figures or emerging figur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idea that we can appreciate the situation of the times through genre painting, and that although human life belonging to the urban cultural environme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different the spirit of touching the culture is very similar with the past, present and future perio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formation of creative thinking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with the view that it is a new aspect of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the way of introducing the current art appreciation attitude centered on the genre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목차
Ⅰ. 서 론
Ⅱ. 조선시대 풍속화와 감상교육
Ⅲ. 조선시대 풍속화의 도시문화 표현 작품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