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Mus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Connected Famous Painting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애선(Shin, Ae Sun) 안경숙(Ahn, Gyoung 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275~3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명화를 활용한 유아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도출한 후 선행활동과 본활동, 확장활동을 포함하여 총 24개 활동을 개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Lincoln과 Guba(1985)의 질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의 M유치원 만 5세 유아 20명이며, 2017년 4월 1주부터 6월 1주에 걸쳐 8주 동안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첫째, 유아들은 명화 속 악기에 대한 흥미가 매개가 되어 능동적인 악기 탐색을 하였다. 둘째, 유아들은 명화와 악기의 미적 요소를 인식하였다. 셋째, 유아들은 명화 속 악기 소리에 대한 상상을 통해 음악 만들기를 하였다. 넷째, 유아들은 악기 디자인과 연계된 창의적인 악기를 만들었다. 다섯째, 유아들에게 미술과 다른 학문 영역과의 통합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of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After drawing the direction of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otal of 24 activities were developed including pre-activities, main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and post-activities. The subjects were 20 5-year-old children from A kindergarten located in G city and the music activities connected to famous paintings for young children were conducted through 8 weeks. Analysis materials to examine educational meaning are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results, and qualitative analysis method of Lincoln and Guba(1985) was used to analyse. As a result of research analysis, major finding were as follows : First, children s interest made children s active search about musical instruments. Second, children recognized the elements of beauty about famous painting and musical instruments. Third, children made music making through imagination of sound. Fourth, children made musical instruments related design creatively. Fifth, children experienced integrated learning related arts and other learning experience.
목차
Ⅰ. 서 론
Ⅱ.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개발
Ⅲ.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 활동 프로그램 적용 및 분석
Ⅳ. 명화와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활동 프로그램의 경험에 대한 교육적 의미 분석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