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Arts Convergence Activities in the Nuri-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for the 3-5year ol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혜(Lee Kyoung Hye) 김숙자(Kim Suk J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103~13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총 32권에 나타난 1361개의 예술융합 활동을 누리과정 연령별, 생활주제별, 영역별, 활동유형별로 분석함으로써 지도서에 제시된 예술융합 활동의 전반적인 분포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예술융합교육의 실천적 준거를 얻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첫째, 3-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는 총 1361개의 예술융합 활동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세, 3세, 4세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주제별 예술융합 활동의 수는 ‘봄․여름·가을․겨울’, ‘생활도구’, ‘동식물과 자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역별 예술융합 활동의 수는 ‘예술경험’ 영역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자연탐구’ 등의 4개 영역 중 2개 이상 영역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예술융합 활동의 수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활동유형에 따른 예술융합 활동의 수는 ‘대․소집단 활동’, ‘자유선택활동’, ‘바깥놀이’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누리과정의 다양한 연령․생활주제․영역․활동유형에서 예술융합 활동이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예술융합교육의 유아교육현장 실천의 가능성을 보여주며, 예술융합교육의 실천을 위한 예술융합 활동 계획의 수립과 전개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1361 arts convergence activities in 32 books of the age 3 to 5 Nuri-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by the age group, life theme, area, activity typ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a basic data to obtain practical criterion of art converg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1361 arts convergence activities in age 3 to 5 Nuri-Curriculum teachers guidebook. By age group, 5 years old, 3 years old, and 4 year olds appeared. Second, the number of arts convergence activities by life theme appeared in the order of spring․ summer․ fall․ winter , life tools , animals and plants and nature . Third, the frequency of arts convergence activities was the highest in activities including contents of ‘Art experience’ and of contents two or more areas among ‘Body Exercise∙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 ‘Explore nature . Fourth, the number of arts convergence activities according to type of activity appeared in the order of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 free choice activities , and outdoor play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arts convergence activities are appearing in various ages, life themes, Nursing process areas, and activity type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possibility of practi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rts convergence educ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arts convergence activity plan for practice of arts convergence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