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s Recognition on and Requirement for Training for Out-of-School Sex Education Exper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은(Lee, Kyoo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4호, 185~2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밖 성교육 전문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효율적인 연수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연수과정 개설에 반영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자작 질문지를 사용하여 2017년 6월30일부터 8월 4일까지 전국의 초·중·고등학교 교원을 표집 하여 조사한 연구이다. 조사결과 교사들은 학교 밖 성교육전문가에 대한 연수가 반드시 필요하며, 학교 밖 성교육 전문가의 교실 수업을 위해서는 성 가치관의 중립성 문제, 학교 성교육표준안에 대한 전문성 확보, 학생의 사회ㆍ심리 발달에 대한 이해가 확보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학교 밖 성교육 전문가 활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생의 요구를 수용한 성교육이 필요하며 학생 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발표 토론 중심의 수업 확대를 요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사들은 학교 밖 성교육 전문가 연수과정에서는 시대 변화에 따른 사회문제로서의 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기 위해 청소년의 성과 관련된 법률이나 사례, 판례 등에 대한 내용의 강좌 개설을 요구하였다. 학교 밖 성교육 전문가를 학교 성교육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사전 연수의 강화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ying the questionnaire to the research with the sampling of teache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was to appreciate what out-of-school sex education experts think of sex education and to find out what they demand for efficient management of training.
It has found that teachers think the training of out-of-school sex education experts indispensible with the conviction that such issues as impartiality of sexual values, expertise on sex education standard in schools and appreciation of students’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secured. In addition, they, with the idea that the sex education with the consideration of students’ demands is necessary for the active involvement of out-of-school sex education experts, were found to expect the expansion of classes focused on representation and discussion in order to encourage more students to participate in sex education. Furthermore, the study revealed that they demand lectures on laws, cases and precedents related to sexual issues of youth should be opened for out-of-school sex education experts to be able to get right recognition of sex as a social issue specified to the change of eras in the course of their trai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