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Academic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Through Relationship with Pedagogy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일환(Chung Il Hwan) 권동택(Kwon Dong Taik)
- 간행물 정보
- 『비교교육연구』비교교육연구 제27권 제6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비교의 개념적 분석을 통하여 비교교육의 학문적 영역을 살펴보고 교육학과의 관계 설정을 통하여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글에서는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을 비교교육학의 개념 및 대상의 정의 방식으로서의 학문적 성격과 연구방법론의 접근 방식으로서의 학문적 성격을 분석하고 있다. 도출된 결과로서 우리나라에서의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면, 첫째, 교육 관련 연구기관에 비교교육 관련 연구소를 설치하고 대학원에 석·박사과정에 비교교육학 관련 전공과정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세계의 각 지역(국가)의 교육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전담 비교교육 전문가가 필요하다. 셋째, 국내에서의 비교교육 관련 학회 및 연구 활성화는 물론 국제 무대에서의 비교교육 연구 및 교류 활동에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field of comparative education through conceptual analysis of comparison, and to seek academic ident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rough relationship with pedagogy.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academic nature of comparative education as a concept of comparative education, and its academic nature as a conceptual method of objects and an approach of research methodology. As a result, the basic direction for the academic development of comparative education in Korea i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search institute for comparative education in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and to establish a comparative education related course in graduate schools. Second, there is a need for a comparative educator who specializes in the education of each region in the world. Third, active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comparative education research and exchange activities in international study as well as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 revitalization in domestic are nee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비교교육에서 ‘비교’의 개념적 성격
Ⅲ. 비교교육학의 학문적 성립과 성격
Ⅳ. 비교교육의 학문적 영역
Ⅴ. 비교교육학의 발전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