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s to Allium monanthum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육종학회
- 저자명
- 김경민(Kyung-Min Kim) 박순기(Soon-Ki Park) 김창길(Chang-Kil Kim) 오중열(Jung-Youl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육종학회지』Vol.42 No.4, 381~38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8.30

국문 초록
한국의 전역에 자생하는 달래를 대상으로 육종 및 재배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자생환경과 자생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생 지의 광환경은 121개의 자생지 중에서 반음지가 66개의 54.6%, 음지가 42개의 34.7%, 그리고 양지가 13개의 10.7%의 순이었다. 자생하는 장소는 밭 주변이 55개의 45.4%, 사찰 주변이 34개의 28.1%, 산 주변이 22개의 18.2%, 하천변이 7개의 5.8%, 그리고 도로변이 3개의 2.5%의 순이었다. 자생지는 33°N~38°N, 126°E~129°E 범위의 모든 지역에 널리 분포하였다. 자생지의 지역적인 분포를 보면 충청북도와 경상 북도에 많았고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는 적었다. 자생양상은 개체와 개체 사이가 밀착하여 집단을 형성하였다. 생육은 자생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대체로 맹아기는 9월과 익년 3월이었으며, 월동 후 3월부터 4월까지 생장하였고 추대하는 개체는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breeding and/or cultivation materials by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natural habitats of Allium monanthum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of sunny, half-shady, and shady conditions were 13 (10.7%), 66 (54.6%), and 42 (34.7%), respectively.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round upland (45.4%), around Buddhist temple area (28.1%), on mountain area (18.2%), along roadside (2.5%), and along riverside (5.8%), respectively. Natural habitats ranged widely in all areas of Korea by 33˚N~38˚N and 126°E~129°E. In Chungbuk and Gyeongbuk natural habitats were more than in Jeonbuk and Jeonnam. Distribute pattern were formed densely. Sprout stage was from September till March of next year. Grew from March to April, and there was no plant formed flower stalk in natural habitats.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