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 초록
‘다청’은 국립식량과학원 벼맥류부에서 2008년도에 육성한 중만생 고품질 복합내병충성 품종으로 주요특성과 수량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남서해안지, 호남 및 영남평야지 보통기 보비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9일로 ‘남평벼’보다 2일 늦은 중만생종 이다.
2. 간장은 87 cm로 ‘남평벼’보다 크며, 수당립수는 많고 등숙비율이 다소 낮은 중립종에 속한다.
3. 위조현상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숙기 하엽노화가 늦고 수발아는 ‘남평벼’보다 잘 되는 편이다. 내냉성은 보통이다 4. ‘다청’은 도열병, 벼흰잎마름병(K 1 -K 3 ), 줄무늬잎마름병, 벼멸구에 저항성 반응을 보였다.
5. 입형은 현미장폭비가 1.73으로 단원형이며 복백이 약간 있으나 맑고 투명하다. 아밀로스함량 및 단백질함량은 ‘남평 벼’에 비해 낮고 밥맛은 매우 양호하다.
6. 쌀수량은 보통기 표준재배에서 5.91 MT/ha로 ‘남평벼’보다 6% 많은 편이다
영문 초록
‘Dacheong’, a new japonica rice variety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Iksan450 having a good eating-quality and multi-disease resistance, and YR21258-GH3 having insect resistance,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Department of Rice and Winter Cereal Crop, NICS, RDA in 2008. This variety has about 125 days growth duration from transplanting to harvesting in west-southern coast,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It has 87 cm culm length and tolerance to lodging. In reaction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it shows resistance to blast, bacterial blight pathogen races from K 1 to K 3 , stripe virus and brown plant hopper. The milled rice of ‘Dacheong’ exhibits translucent, relatively clear non-glutinous endosperm and medium short grain. It has slightly lower amylose content of 18.8% and lower protein content of 5.7%, and good palatability of cooked rice compared with Nampyeongbyeo. The milled rice yield performance of this variety is about 5.91 MT/ha in local adaptability test for three years. ‘Dacheong’ would be adaptable to west-southern coast, Honam and Youngnam plain of Korea.
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인 용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