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Firestop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장영태(Jang Young Tae) 최지훈(Choi Ji Hun) 최돈묵(Choi Don Moo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6호, 235~24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0
국문 초록
방화구획은 건축물 화재 시 화염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실자들의 피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목적 복합건축물의 설계에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시스템이다. 방화구획을 구성하는 벽체와 바닥에는 배관, 덕트, 트레이 등이 관통하고 있으며 관통부의 틈새는 연기와 화염을 확대시키는 주요 통로가 되어 방화구획 성능에 약점이 될 수 있어 내화충전구조(Firestop)로 충전하게 규정되어 있다. 방화구획의 약점이 되는 틈새의 시공은 밀실하게 누락되는 공간 없이 완벽한 방화구획이 필요하지만 현행 관련법규와 관리체계에 모호한 경계로 인하여 큰 위험요소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Firestop의 실제 시공단계에서의 실태 분석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국·내외 Firestop의 관리방안 및 규정 고찰을 통하여 Firestop 성능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fire compartmentation is one of methods for preventing fire spread between compartments in buildings. This system is important for multi-complex buildings because of the critical effects on occupant evacuation time. The walls and floors of fire compartment are penetrating with pipes, ducts, and trays. The gap between piping and walls is the critical passage for fire and smoke spread. Therefore, Firestop construction is necessary by regulation to cover the weak points of fire compartment. However, even the law has stated, there is vague boundary between related laws and management systems of Firestop construction. In this study, we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s of Firestop construction to improve the domestic regulation. Besides, the study is suggesting more reliable management systems and regulation review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Firestop construction for both locally and internationally.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국내·외 관련 규정 비교
3. 공정 별 Firestop의 공법
4. 시공 시 문제점 및 사례조사
5. 시공분야 개선방안
6.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