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육성 옥수수 품종의 곡실 성분 특성

이용수 45

영문명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Compositions on Kernel of Korean Maize Hybrids
발행기관
한국육종학회
저자명
정건호(Gun-Ho Jung) 김미정(Mi-Jung Kim) 손범영(Beom-Young Son) 김선림(Sun-Lim Kim) 윤미라(Mi-Ra Yoon) 곽지은(Jieun Kwak) 최인덕(Induck Choi) 곽강수(Kang-Su Kwak) 이춘기(Choon-Ki Lee)
간행물 정보
『한국육종학회지』Vol.48 No.4, 450~459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농수해양 > 기타농수해양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oximate contents and compositions of amino acids and fatty acids in Korean 6 dent, 2 intermediate, and 3 semiflint maize (Zea mays L.) hybrids. The protein content of 11 Korean maize hybrids ranged from 9.0% (Pyeonggangok) to 11.5% (Jangdaok). The crude fat content varied from 4.0% (Pyeonggangok and Yanganok) to 5.6% (Kwangpyeongok), and the crude ash content was 1.3 (Jangdaok) ~ 1.6% (Cheonganok). Total starch contents of maize hybrids were determined in the range of 51.4% (Jangdaok) to 70.9% (Cheonganok). Major amino acid in maize varieties were glutamic acid (27.28~28.68%) and followed by proline, alanine, and aspartic acid. Fatty acid were mainly composed of oleic acid (C18:1, 23.55~31.47%) and linoleic acid (C18:2, 47.55~56.64%) in maize hybrids. Cheonganok, Cheongdaok, and Kwangpyeongok had high oleic acid composition among Korean maize hybrids. Also, Gangdaok and Kwangpyeongok had high composition of saturated fatty acid. Because kernel composition affects maize quality, it is important data for the maize breeding program and food processing.

목차

1. 서언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적요
5. 사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건호(Gun-Ho Jung),김미정(Mi-Jung Kim),손범영(Beom-Young Son),김선림(Sun-Lim Kim),윤미라(Mi-Ra Yoon),곽지은(Jieun Kwak),최인덕(Induck Choi),곽강수(Kang-Su Kwak),이춘기(Choon-Ki Lee). (2016).국내 육성 옥수수 품종의 곡실 성분 특성. 한국육종학회지, 48 (4), 450-459

MLA

정건호(Gun-Ho Jung),김미정(Mi-Jung Kim),손범영(Beom-Young Son),김선림(Sun-Lim Kim),윤미라(Mi-Ra Yoon),곽지은(Jieun Kwak),최인덕(Induck Choi),곽강수(Kang-Su Kwak),이춘기(Choon-Ki Lee). "국내 육성 옥수수 품종의 곡실 성분 특성." 한국육종학회지, 48.4(2016): 450-459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