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Life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영남(Ko, YoungNa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3호, 423~4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애목표와 삶의 의미가 주관적 안녕감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삶의 의미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일 것이라는 전제 하에,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생애목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어떠한 매개효과를 갖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6월 5일부터 2주간에 걸쳐 충북 지역에 소재한 2개 대학교 남녀 대학생 378명을 대상으로 하여 생애목표 척도, 삶의 의미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는 물론 성취지향 목표는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 차원에서 의미발견과 함께 의미추구는 주관적 안녕감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애목표로서 삶지향 목표와 성취지향 목표 모두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의미추구 또는 의미발견만을 거치는 단일매개효
과는 없고,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life goals and subjective well-being. Participants were 378 college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Four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employed: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Life Goal Questionnai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 bootstrapping method that is known to be a more accurate mediation method than the Baron and Kenny and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achievement goal and personal life goal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he search for meaning, the presence of mea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Third, the positive effect was measured on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to the search for
meaning, but there was no effect on life goals to the presence of meaning. Fourth, the effect of life goals(achievement goal, personal life goal) on subjective well-being had significant serial double mediation effect through the search for meaning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