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개인저작물
- 저자명
- 김오식
- 간행물 정보
- 『개인저작물 - 공학』17권 2호, 51~6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공학 > 개인저작물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10

국문 초록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constructed wetland)의 보급 목적으로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 실험시스템의 구축에 필요한 과제로서 모의 유출수의 조성과 인공습지의 구성요소와 침출수의 처리지표를 정리한 것이다.
또한 실험시스템의 일례로서 lab-scale의 연직류(수직류) 방식의 인공습지에 의한 모의침출수의 처리실험을 실시했다. 칼럼에 경석과 적옥토로 채우고 갈대식재 시스템과 골풀식재 시스템과 비(non)-식재 시스템의 인공습지를 준비하여, 아열대의 기후를 모의하기 위한 온실을 설치했다.
메탄생성기의 모의침출수의 처리에서는 식재시스템의 증발산량이 많고 비식재 시스템보다도 다량의 부하를 받아들일 수 있었다. 인공습지(artificial wetland)의 질소제거율은 서서히 저하되었으나, 식재에 의해 질화・질산화가 촉진되었다. 산생성기의 모의침출수의 처리에서는 모든 인공습지에서 저급지방산이 양호하게 제거되었다.
골풀식재 시스템의 지상부는 건조하게 되었으나, 질산화의 촉진이 일시적으로 계속되었다. 갈대식재 시스템에서는 그 생육이 양호했고 고농도의 암모니아-태(성) 질소에 대해서도 일정한 질산화율이 유지되었다. 처리수의 색도는 후민산(humic acid)의 흡착이 파과되면 급증되었으나, 식재에 의해 그 제거용량이 향상되었다. 본 논문을 정리한 원저자는 참고문헌[1]의 Ishigaki Tomonori 박사 등이다.
영문 초록
목차
요론
1. 서론
2. 인공습지와 침출수 처리실험의 과제
3. 인공습지의 Lab-scale 실험의 사례
4. 결론
5. 출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