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anagement Ownership and Voluntary Disclosur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산업경영학회
- 저자명
- 김경옥(Kim, Gyeong-Ok)
- 간행물 정보
- 『경영연구』 第32卷 第4號, 351~37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영자소유권에 따라 자발적 공시행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경영자와 외부 주주간의 대리인문제에 대해 이해일치가설과 이익침해가설이 제기되어왔다. 이해일치가설은 경영 자지분율이 높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줄어든다는 가설이고 이익침해가설은 경영자지분율이 낮을수록 정보 비대칭이 줄어든다는 가설이다. 공정공시제도는 정보 비대칭을 줄이기 위한 장치이다. 경영자는 자발적공시를 함으로써 외부주주와의 정보 비대칭을 줄일 수 있다. 이때 이해일치가설에 따르면 경영자지분율이 높을수록 경영자는 정보 비대칭을 줄이기 위해 자발적 공시를 할 가능성이 높고, 이익침해가설에 따르면 경영자지분율이 낮을수록 경영자는 자발적 공시를 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대리인이론을 기초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의 행태를 조사하였다. 자발적 공시의 대리변수로 경영자예측치 공시여부, 공시횟수, 공시항목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영자가 일정수준 미만의 소유권을 가질 경우 이해일치가설과 일치하게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와 양(+)의 관련성을 발견한 반면, 경영자가 일정수준 이상의 소유권을 가질 경우 이익침해가설과 일치하게 경영자소유권과 자발적 공시간의 음(-)의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이는 대리인 이론 중 또 다른 가설인 절충가설을 지지하는 결과로 외부주주와 금융당국에 대하여 정책적 함축의미를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effect of management ownership on the voluntary disclosure behavior using a sample of listed companies in Korean securities market. the finance literature finds that levels of management ownership reflect two agency problems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shareholders. First, there is a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Second, there is an entrenchment hypothesis. The fair disclosure regulations reduces information asymmetry.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manager is the more equity, the likely it will be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entrenchment hypothesis, manager is the less equity, the likely it will be to reduce information asymmetr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three proxy of voluntary disclosur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non-monotonic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voluntary disclosure. Consistent with a convergence of interest hypothesis, the association between management ownership and voluntary disclosure is found to be significantly positive within low regions of management ownership. The association is significantly negative within high regions of management ownership, as suggested by an entrenchment hypothesis. The non-linearity is consistent with the finance literature and with the prediction of agency theory. These evidences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voluntary disclosure contributes to addressing the asymmetric information between managers and outside shareholder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및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