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of Questioning Revealed in Socioscientific Issues (SSI) Classes for Elementary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호(Kim, Sungho) 이현주(Lee, Hyunj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2호, 305~3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국문 초록
SSI를 위한 협력적 수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 중 하나는 발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SSI 수업을 수행하는 교사가 사용하는 발문의 유형 및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SSI 수업을 위한 발문의 방향을 제안해보고자 하였다. 이에,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SSI 수업을 진행한 한 교사(최교사)의 수업을 관찰한 후, 그의 SSI 수업에서 어떠한 기능의 발문들이 주로 활용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최교사는 6학년 1학기 과학 교과내용과 밀접하게 관련된 세 개의 SSI를 선정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중 SSI 토론이 활발하게 진행된 수업을 녹음 및 전사하여 수업에서 나타난 최교사의 발문을 모두 추출한 후,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개발된 발문 유형 분류틀에 따라 분석하였다. 또한 수업 후 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발문의 목적 및 기능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학생들에게 단순 정보나 의견을 확인 하는 발문(I)과 묘사 및 설명에 대한 요구(E)에 대한 발문 비중이 매우 높았다. 이에 반해, 개인의 생각 및 추론에 대해 도전하는 발문(C)이나 학생 간에 서로 의견을 보강하거나 반론을 제기하도록 함으로써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발문(S, R)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Using appropriate questions is crucial in effectively utilizing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nd formulating collaborative, discoursive learning environment in SSI classes.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refore, were to investigat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teacher questions used in SSI classes and to explor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might encounter when using questions. To achieve the aims, we observed SSI classes, taught by Ms. Choi, for 6th graders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d the types of questions that she used in her SSI classes. The teacher, Ms. Choi, designed three SSI classes tightly connected to the 2009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he SSI classes were all audio-recorded. All the questions used by Ms. Choi were extracted and classified based on the questioning analysis framework. In addition, we interviewed Ms. Choi after the classes to understand her perceptions on the purposes and functions of questioning. The result indicated that questions for seeking simple information and opinions of individuals (I) and asking elaboration of the information and opinions (E) took majority of her questions. On the other hand, questions for challenging individuals’ thoughts (C), asking supports or refute for others’ opinions (S, R) were very ra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guides teachers to plan various types of questions when they design SSI classes by 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revealed in SSI clas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