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ctual Operating Condition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Ski Education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재정(Park, Jae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2호, 851~86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직전교사 교육기관의 스키교육 운영 실태를 확인하여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13개 초등 직전교사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문서와 수업 실무 담당자와의 전화 통화 및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사례별 기록과 귀납적 내용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전교사 교육기관의 스키관련 강좌 편성 및 운영 실태는 ‘체육심화 교육과정’과 ‘공통 교육과정’으로 대별되었다. 체육심화 교육과정은 ‘심화 필수(6개교), 심화 선택(1개교), 미개설(6개교)’로 분석되었고, 공통 교육과정에서는 ‘전공 필수(1개교), 전공 선택(2개교), 교양 선택(6개교), 미개설(4개교)’로 범주가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직전교사 교육기관에서의 스키교육 운영 방향을 형식과 내용으로 구분하였는데, 형 식 갖추기에서는 강좌의 개설, 탄력적인 강좌 운영, 내용 갖추기에서는 학교현장에 필요한 역량 중심과 기능뿐만 아니라 지도법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ctual conditions of ski education i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and to suggest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elephone conversations and interviews with 13 persons in charge of educational documents and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Data were analyzed by the methods of case record an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Member check, and peer debriefing established the truthfulness of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ski-related lectures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status of the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were divided into deepen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common education curriculum . The deepening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analyzed as Deepening Essentials (6 schools), Deepening Choice (1 school) and No Opening (6 schools) . In the common curriculum, Major Essential (1 school), Major selection (2 schools), Liberal A rts selection (6 schools) and No Opening (4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ski education operation is divided into type and contents. In the types, it suggested the opening of lectures and flexible lecture operation . In the contents, it suggested ability-centered education necessary for schools and teaching method as well as skill .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