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n the Effects of Dictogloss Instruction in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재파(Baek, JaePa)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2호, 515~53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딕토글로스 교수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딕토글로스 교수의 효과를 검증한 석·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 논문 21편에서 30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딕토글로스 교수의 전체 효과크기는 .534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숙달도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중급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676) 둘째, 종속변인에 따라 메타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의 효과크기에 큰 차이가 없었다(듣기: .510, 쓰기: .546, 문법: .539). 셋째, 학습자 언어권,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수업 횟수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 목적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각각의 결과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dictoglos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systematically. To this end,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by calculating 30 effect sizes in 21 related studies that verified the effect of dictoglos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dictogloss transpired to be medium
(.534). In addition, dictogloss was most effective in intermediate level (.676). Second, according to the dependent variable, each variable has a similar effect size (listening:.510, writing: .546, grammar: .539). Third,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with the language group, number of students, number of lessons, and learning purpose taken as
the moderating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learning purpose. Detailed findings and pedagogical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