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es on the First-Round Institutional Assess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Was It Really Effective and What Is the Next Step?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변기용(Byun Ki yong) 변수연(Byoun Su Youn) 이석열(Lee Suk yeol) 송경오(Song Kyoung oh) 라은종(Ra Eun j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4輯, 27~5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박근혜 정부에서 시행된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발전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혼합연구 방식을 채택하여 2016년 6월 전국 195개 4년제 대학의 평가 관련 보직자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네 개 대학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두 연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였을 때 대학들은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목표와 시행방식, 평가 지표의 적절성과 타당성 등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를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대학의 소재지나 규모, 설립주체(국·사립) 등 대학의 기본 여건에 의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가 2017.3.9일 발표한 2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 기본계획의 내용과 주요 쟁점을 정리하고,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단기적, 중장기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irst-round institutional assessment for restructuring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ector from the perspectiv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second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he case study, to identify what are the prerequisites of the success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that is scheduled to start in 2018. By and large, administrators and staff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evaluated negatively various features of the first-round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 four- college- cas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Korean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to improve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econd-round assessment. Policy implications from a short-term as well as a long-term perspective were presen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박근혜 정부 대학구조개혁평가 현황 및 본 연구의 접근방식
	                       
	                          Ⅲ. 연구방법
	                       
	                          Ⅳ.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의 공과 분석
	                       
	                          Ⅴ. 향후 대학구조개혁평가 시행과 관련한 쟁점과 발전방향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