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Emotion 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Examining the Mediating Roles of Meta-cogni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예원(Ye won Kim) 유기웅(Ki ung Ryu)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4輯, 103~139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고등학생 4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분석하였다. 그 결과로는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 하위변인 중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가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가진 하위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과 메타인지, 메타인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정서의 자각은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요소를 매개하여 목표선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변인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eta-cognition empirically. To this purpose, 47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Data analysis revealed that: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s among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most positive influence. Second,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and between meta-cogni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spectively,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re found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