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chool Visit Service for Interven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오인수(Oh In soo) 홍현주(Hong Hyun Ju) 강윤형(Kang Yun Hyong) 임이랑(Lim Ira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4輯, 227~25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 전문가의 학교방문 지원 서비스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 서비스는 정신과 의사, 사회 복지사, 상담사 등 정신건강 전문가들로 구성된 팀이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정신건강 고위험군 학생에게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서비스에 참여한 학생 1,224명, 보호자 984, 교사 1,078명이 면담평가를 위한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서비스의 효과성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한 학생, 보호자, 교사를 대상으로 SDQ-Kr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과 의사가 평가한 CGI-Severity, CGI-Improvement를 바탕으로 효과성을 측정하였다. SDQ-Kr의 경우 학생들은 과잉행동과 부정적 정서증상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보호자는 자녀들이 과잉행동, 부정적 정서증상, 또래 문제, 품행문제에 있어서 감소했을 뿐만 아니라 사회지향행동에 있어서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보고하였다. 교사 또한 학생들이 과잉행동, 부정적 정서증상, 품행문제에 있어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사회지향행동에 있어서도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보고하였다. 또한 서비스를 받은 학생들을 CGI를 통해 임상 평가를 실시한 결과, 유의미한 임상적 개선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서비스의 교육적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chool visit service for intervention. The school visit service team consists of mental health professionals including psychiatrists, social workers, and counselors. 1,224 students, 984 parents, and 1,078 teachers responded to the evaluation survey.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 was measured by SDQ-Kr, CGI-Severity, and CGI-Improvement.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hyperactivity and negative affect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parents reported that their children showed increase of positive social behavior as well as decrease of hyperactivity, negative affect, peer relationship problems and conduct problems. Teachers also reported that students showed increase of positive social behavior as well as decrease of hyperactivity, negative affect, and conduct problems. In addition, significant clinical improvement was identified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service. Implications of the service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futrue research were provid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정신건강 전문가 학교방문 지원 서비스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