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linical Features of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after Reoperat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김태진(Tae Jin Kim) 김대현(Hyun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11,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적: 간헐외사시 재수술 후 다시 재발된 간헐외사시 환자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위험인자 및 예후 등을 알아보았다.
대상과 방법: 간헐외사시 첫 수술 후 외사시가 재발하여 재수술을 시행 받은 39명의 환자에서 경과관찰 중 외사시가 다시 재발한 환자의 발생빈도, 위험인자, 치료방법, 예후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전체 환자 39명에서 24명(61.5%)이 간헐외사시가 다시 재발하였고 15명은 간헐외사시가 다시 재발하지 않았다. 재수술 전 나이, 사시각, 굴절력, 부등시, 바깥쪽불일치, 수직편위 유무는 간헐외사시가 다시 재발하는 데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첫 수술로 두 눈 외직 근후전술을 시행한 후 재수술로 두 눈 내직근절제술이나 한 눈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경우가 첫 수술로 한 눈 외직근후전술과 내직 근절제술을 시행한 후 재수술로 반대쪽 눈 외직근후전술과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에 비해 간헐외사시가 다시 재발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또한 술 후 1일째 1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 PD) 미만의 내편위 또는 정위 및 외편위를 보이는 경우가 10프리즘 디옵터 이상의 내편위를 보이는 경우에 비해 다시 재발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결론: 간헐외사시 재수술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술방법 및 수술 후 과교정도 등이 수술적인 요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reviewed the clinical features of intermittent exotropic patients who experienced recurrence after reoperation for intermittent exotropia, and identified the risk factors and prognoses.
Methods: The incidences, risk factors, treatment modalities, and prognoses of patients with recurrent exotropia were analyzed in 39 patients who underwent reoperation due to a relapse of exotropia after the first intermittent exotropia.
Results: Among 39 patients, 24 (61.5%) had recurrent intermittent exotropia and 15 patients had no recurrence with intermittent exotropia.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currence of intermittent exotropia with age, deviation, refraction, anisometropia, outward discrepancy, and the vertical deviation before the reoperation. However, when the first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b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the reoperation was performed with b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or unilateral medial rectus resection, intermittent exotropia tended to recur more than when the first operation was performed with one eye with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medial rectus resection, followed by reoperation with the other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medial rectus resection (p < 0.05). In addition, an esodeviation <10 prism diopters, orthophoria, or exotropia on the first postoperative day showed a tendency to relapse more than an esodeviation >10 prism diopters (p < 0.05).
Conclusions: The factors affecting recurrence after intermittent exotropia surgery involve surgical factors such as the surgical method and the postoperative overcorrec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7;58(11):1248-1253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