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Geriatric Population-Focused Play Therapy Training Program on the Awareness of Play Therapy and Self-Efficacy of the Career Discontinued Women Preliminary Therapis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신민주(Shin Min Ju) 이지경(Ji Kyung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553~5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놀이치료사 참여프로그램이 경력단절 여성 예비놀이치료사들의 놀이치료 인식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노인놀이치료 사들의 참여 프로그램은 2017년도 4월 28일부터 7월 28일까지 각 회기 당 2시간씩 13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 총 20명의 여성들이 놀이 치료 인식과 자기효능감 측정도구에 사전-사후-추후 3차례에 걸쳐 응답하였다. 기술통계, 독립표본 t 검증, 비모수검정(대응표본 Friedman 검증)을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후 실험집단의 놀이치료 인식수준과 자기효능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를 보였고 그 수준도 높아졌으며, 이러한 변화는 연구가 종료된 후에도 지속되었다. 반면에 통제집단의 놀이치료 인식수준과 자기효능감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사전-사후-추후의 단계에 서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는 고령화 시대에 소외된 노년층에 도움을 주는 노인놀이치료와 치료사로서의 제 2의 인생을 희망하는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놀이치료인식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도움을 주는 참여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했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awareness of play therapy and self-efficacy of the career discontinued women preliminary therapists through a geriatric population-focused play therapy training program. The training program was implemented between April 28th and July 28th of 2017 for 2 hours a day for 13 weeks. 10 experimental groups & 10 control groups responded to play therapy and self-efficacy instruments three times(pre-post-maintenance phase). Descriptive analysis, independent t sample test, and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paired Friedman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play therapy and self-efficacy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levels were increased gradually. Furthermore, the trend was maintain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tudy.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the level of awareness of play therapy and self-efficacy from the control group. No remarkable progresses were found during pre-post-maintenance phases in the control group. The study shed light on the effect of geriatric play therapy which helps the elder and career discontinued women who dreamed of being a play therapist in this era of aging.
목차
Ⅰ. 서 론
Ⅱ . 연구방법
Ⅲ . 연구결과
Ⅳ .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