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 in School Field Practice: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e Development Eval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성희(Lee, Sunghee) 김진영(Kim, Jin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원능력개발평가 내용을 기준으로 예비유아교사가 학교현장실습기간 중 경험한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실습생의 활동 특성을 파악하고 학교현장실습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 참여한 실습생이 4주간 주차별로 2회씩 실습활동내용을 보고한 실습활동기록지 560장을 수집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습생들은 학습지도영역 중 수업실행 관련 활동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평가 및 활용 활동을 가장 적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실습 4주간 지속되었으며, 특히 실습 3주차에 수업실행 관련 활동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생들은 생활지도영역 중 생활습관 및 인성지도 활동을 가장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아관찰 활동을 가장 적게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교육실습 4주간 지속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 로 학교현장실습 내실화를 위해 직무관련성이 높은 체계화된 실습 내용, 실습교사 교육 및 실무 지원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activities of practice teachers by analyzing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school field practice based on kindergarten teachers competence development evaluation, and seek directions for practice instruction and pre-service education. To that end, the study collected 560 sheets of the practice activity log written by 70 practice teachers for four weeks of the practice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of the data. The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it showed that the most activity out of learning guidance the practice teachers involved with was practice-related teaching while the least one was evaluation and its utilization. Such trends lasted four weeks of the practice period and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e teachers did more of the practice-related teaching activities particularly on the third week of the practice. Second, it showed that the most activity out of life guidance the practice teachers involved with was life habits and personality instruction while the least one was counsel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Such trends also lasted four weeks of the practice period. Based on tho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measures and a balanced practice system to reinforce school field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