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view of Typological Studie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정아(Choi, JungA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65~8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그 동안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진 데 비해 정의, 측정도구, 연구방법 등의 다양성은 학업지연행동에 대한 효과적이고 표준적인 개입방안의 도출을 어렵게 해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진행된 지연 및 학업지연행동 분류연구들을 정리하고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이 지닌 제한점을 재조명하고, 유형 분류를 위한 제언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지연 및 학업지연 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둘째, 지연 및 학업지연행동을 측정한 도구들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지연 및 학업지연문제와 함께 측정한 심리적 변인은 어떠한 것들 이 있는지, 셋째, 지연 및 학업지연문제를 어떻게 분류하였는지 그 기준과 분석방법, 그리고 분류결과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러 연구들에서 비교적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성들을 발견하였고, 학업지연행동이 발생되는 메커니즘 규명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 및 추후 학업지연행동의 심각도라는 스펙트럼으로의 조망가능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cademic Procrastination is quite common and has widespread negative consequences: poor achievement and poor mental health. Although well researched, no gold standard intervention for academic procrastination exists due to considerable differences in definitions, methodologies, study designs, etc.(Glick & Orsillo, 201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on procrastin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nd provide suggestions to further studie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Firs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measures and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Third, standard of classification, method of analysis, and results are reviewed. For clinical use, academic procrastination can be viewed within a severity of the symptom. Research and clinical impli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방 법
Ⅲ. 학업지연행동 관련 경험적 연구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