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lf-Evaluated Low-achiev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Hindrance Factors that Affect Negatively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Placed in Academic High Schoo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유성(Heo, YuS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267~2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문계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성취수준에 따라 3집단으로 구분한 후 그들의 국어과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만족도 방해요인을 탐색하여 그 상대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예비 조사에서는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82명을 대상으로 학업 및 학교생활만족을 방해하는 요인을 자유기술 방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예비 조사를 통해 도출된 10가지 주요 방해요인을 바탕으로 저성취 학생 397명을 대상으로 방해요인 간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9월 중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으며, 10-11월에 걸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국어과 학업성취도에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과 ‘과다한 취미 활동’,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유의미한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이해할 수 없는 수업’이 상대적으로 가장 중요한 방해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도에서는 ‘과다한 컴퓨터·휴대폰 사용’, ‘이해할 수 없는 수업’, ‘개별화되지 않은 교육’, ‘아버지의 부정적 태도’가 방해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 수업 분위기’는 정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effects of hindrance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ed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of low achieving students placed in academic high schools. At the preliminary study, we analyzed the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with 82 10th grade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open-ended responses. At the main study, a total of 397 low achieving studen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results such as 10 key hindrance factors influencing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satisfaction.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uch as ‘low-low’, ‘low-middle’, and ‘low-high’.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too much time on hobbies’ were found as the critical hindrance variable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language arts. In school satisfaction, ‘over use of computer and mobile phone’, ‘un-understandable class’, ‘lack of individualized learning’, ‘fathers’ negative attitudes’ were found as the negatively critical hindrance factors. On the contrary, ‘negative class climates’ was positively significant variable.
목차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