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wareness training on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team activity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in team-based learn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Kim, Minje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289~3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팀기반 학습에서 동료평가 인식교육이 평가의 신뢰도, 팀활동의 만족도,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준실험 설계를 적용하여 같은 조건의 두 반을 무선 배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눈 후,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팀과제 활동의 과정에 대한 평가(기여도 평가)를 동료평가로 실시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실험집단의 학습자들은 사전에 동료 평가 인식교육을 받았고 통제집단 학습자들은 사전 인식교육이 없었다. 3주 동안의 팀과제 수행이 끝난 후, 동료평가를 실시하고 동료평가의 신뢰도, 팀활동 만족도, 동료평가의 인식에 대한 집단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총 52명의 학생들이 실험에 참여 하였는데(실험집단 28, 통제집단24), 사전 인식교육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은 통제집단 학습자들에 비해 동료평가의 신뢰도 측면에서 높았고, 팀활동 만족도 중에서는 평가의 공정성 항목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사전 인식교육을 받은 실험집단 학습자들은 동료평가에 대한 인식에서도 통제집단 학습자들에 비해 더 정확하고 유용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동료평가의 원래 목적과 팀학습에서의 필요성 등을 충분히 인식한 학습자가 동료평가를 더 공정하게 하고 유용하게 인식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므로 동료평가에 대한 정확한 사전인식 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wareness training of peer assessment on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team activity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in team-based learning. Two intact groups(52 students) are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conditions (experiment group with awareness training vs. control group without train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reliability of peer assesment,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s much higher reliability of peer assessment. In team activity satisfaction, overall team satisfac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in fairness of assessment item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s significantly high score than the learners in control group. In perception on peer assessment, the learners in experiment group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 peer assessment. In specific, they perceived peer assessment is more accurate and more useful than control group learners di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e importance of pre-awareness training when we use peer assessment in team-based learning situation. At the end of this study, further studies to verify the results are recommen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