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준(Kim, HeeJoon) 박희연(Park, HeeYon) 조명숙(Cho, MyoungSu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573~59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러티브가 담겨 있는 그림책 속의 이야기 세계와 독자가 자신의 삶의 세계를 오가며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하는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 H유치원 2학급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2017년 7월 31일부터 2017년 9월 28일까지 8주 동안 실험집단에게는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일반적인 그림책 읽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내러티브 사고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그림책 읽기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 태도의 하위 요소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책 읽기 관심에 대한 태도’와 ‘책 읽기 행동에 대한 태도’ 항목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책읽기 행동 후에 대한 태도’는 두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같은 결과는 그림책 속 가상의 내러티브 세계와 유아 자신의 현실의 내러티브 세계를 연결하는 소통 활동이 유아에게 그림책에 더욱 흥미를 가지게 하여 그림책 읽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influence of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the process of constructing meaning and communicating between readers’ world of life and story world reflected in narrative picture books,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To this end, 40 participants of age 5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a ‘H’ kindergarten in Kyungki area.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was implemen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a general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implemented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ading activity focused on narrative thinking has impact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More specifically, among three subcategories of reading attitu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with regard to ‘attitudes toward interest in reading books’ and ‘attitudes toward behavior of reading book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behavior after reading 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 communication activity, which connects an imaginary narrative world in reading books to the children’s real narrative world, has positive influence on children’s attitudes toward picture book reading by causing more interest in picture book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