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on Their Self-esteem and Marital Happines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문병환(Mun, Byung-Hwan) 이상미(Lee, SangMi)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209~22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 및 결혼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J도에 거주하는 다문화 여성 325명이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 전체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 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결혼행복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는 결혼행복감 전체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여성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과 결혼행복감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다문화 여성에게 사회적 지지를 해줌으로써 사회구성원으로 결혼행복감을 느끼며 자아존중감을 높여 대한민국 문화 및 사회적으로 자연스럽게 적응할 수 있는 다문화 여성 정책을 계획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on their self-esteem and marital happiness. Study subjects were 325 multicultural women in J Provinc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and their self-esteem.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usband s support, Korean friend s support, homeland friend s support and other s meaningfu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steem, whereas homeland family s support had negative effects on self-esteem. And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and their marital happi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husband s support, parents-in-law s support and other s meaningful support had positive effects on couple s satisfaction and familial satisfaction. Since study findings present the fact that social support for multicultural women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self-esteem and marital happines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support to multicultural women, thus making them feel marital happiness as a community member in Korea and well adapt to Korean society and culture. In this vein,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work out an appropriate policy for multicultural wom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