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n aspects of Situation Context Consideration according to Writing Performance Levels: Using Think-Aloud Protocol of High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경희(Park, KyongH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20호, 739~76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필자의 사고구술 자료를 바탕으로 상황 맥락 고려 요인을 분석하고, 쓰기 수행 수준에 따른 상황 맥락 고려 양상의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6년 5월~8월에 고등학생 30명의 사고구술 프로토콜, 쓰기 결과물, 설문지, 인터뷰 내용이 수집되었고, 2017년 1월~6월에 사고구술 프로토콜 분석, 글쓰기 채점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필자의 상황 맥락 고려 요인의 평균 점유율 순서는 ‘주제, 텍스트 유형, 필자, 쓰기 목적, 독자, 내용지식, 과제, 필자와 독자의 관계, 시공간적 특성, 매체, 텍스트 분량’으로 분석되었다. 상 수준은 ‘텍스트 유형’을, 하 수준은 ‘주제’ 요인을 가장 많이 고려했고, 특히 하 수준의 ‘주제’ 요인 의존도가 매우 높았다. 둘째, 쓰기 수행 수준별 상황 맥락 고려 양상의 차이는 주로 참여자 범주와 내용 범주에서 나타났다. 상 수준은 하 수준보다 ‘필자’, ‘독자’, ‘필자와 독자의 관계’ 요인이 심층적 · 역동적으로 고려되었고, ‘주제’와 ‘내용 지식’ 요인도 다양하고 활발하게 고려되었다. 셋째, 양식 범주와 환경 범주에서는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다만 상 수준에서는 ‘과제’ 요인에서 과제의 핵심 요소 추출, 과제 해석 등이 나타났으나, 하 수준에서는 주제 위주의 간단한 과제 해석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of situation context consideration using think-aloud protocol and examine the differences in situation context consideration according to writing performance levels. To this end, 30 think-aloud protocols, essays, survey and interview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August, 2016. And think-aloud protocols was analyzed based on situation context factors and writing was graded from January to June, 2017.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is study. First, the order of occupancy in the factors of situation context was theme, text types, writer, writing purpose, audience, content knowledge, writing tas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characteristic of space-time, media, text length. Second, students with high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mostly considered the factor of text types and more dynamically considered the factors of writer, aud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and the audience, theme, content knowledge in depth. Students with low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mostly considered the factor of the theme. Third, students similarly recognized the factors of writing purpose, text types, media, characteristic of space-time, text length.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in writing education through writing context consideration. Therefore more continuous extended study is necessar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