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n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help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조혜영(Hye Young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12권 제5호, 965~97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온ㆍ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참가모집 홍보를 보고 참여한 대상자 중에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10주간 주1회 120분간은 대학생 동료상담훈련을 받았고, 다음날 주1회 60분간은 온라인 상담실습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검증과,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F=13.258, p<.01)과 자기효능감(F=15.565, p<.01)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온ㆍ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would effect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en participa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to the peer counseling program training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next day, practiced counseling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ANCOVA. As the participants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rovement on their self-esteem(F=13.258, p<.01) and self-efficacy(F=15.565, p<.01) than those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eer counseling program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it would help improve university freshmen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