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semble Rainfall Estimation and Flood Forecast by Considering Spatial Prediction Uncertainty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유완식(Yu Wan sik) 최미경(Choi Mi kyoung) 정안철(Jeong An chul) 문혜진(Moon Hye jin) 정관수(Jung Kwan su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5호, 43~55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일본 기상청에서 제공하고 있는 중규모모델(MSM)의 수치예보자료를 이용하여 태풍 및 정체전선 등 3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강우 및 홍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수치예보자료의 공간이동을 통해 생성된 앙상블 강우분포를 이용하여 공간예측 변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태풍과 같은 광역적 범위에 대한 예측에 대해서는 높은 정확도를 나타냈으나, 정체전선과 같이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강우사상에 대해서는 공간예측의 오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앙상블 강우 및 홍수예측결과 전체적으로 관측값의 패턴과 유사한 예측결과를 보였으며, 과소예측되는 구간에 대해서는 앙상블 범위가 관측값을 포함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수치예보의 공간이동기법을 이용한 앙상블 강우 및 홍수예측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accuracy of rainfall and flood forecasts with three rainfall events such as typhoon and stationary front by using MSM provided by Janpan Meteorology Agency. In addition, prediction misplacement was estimated using ensemble rainfall distribution generated by spatial shift of original MSM rainfall field. As a result, the wide-area prediction such as typhoon event showed high forecast accuracy, and the local-area prediction such as stationary front event has a limitation to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 (QPF) due to spatial prediction error. The ensemble rainfall and flood forecasts showed similar pattern to the observed value, and the forecast accuracy was improved in the under-predicted area because the ensemble range included the observed value. From these results, it coul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ensemble rainfall and flood forecasts by using spatial shift of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적용 결과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