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re Technology Deriving Based on Patent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임수정(Lim Su jung) 이유림(Lee Yu rim) 이향이(Lee Hyang ee) 박덕근(Park Dug keu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5호, 139~14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재난안전산업 관련 기술현황을 파악하고, 특허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국가별 핵심기술을 분류하였다. 또한 타국가 대비 국내 기술개발이 미흡한 분야를 도출하여 향후 기술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신호 호출시스템(G08B),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 처리(G06F), 예경보 및 예측용 데이터 처리 시스템(G06Q) 분야가 현재 재난안전분야 핵심기술로 도출되었다. 국가별 핵심기술분야의 특징으로는 미국이 화상통신(H04N) 분야, 일본이 메니퓰레이터(B25J) 분야, 유럽이 기상학(G01W) 분야, 한국은 디지털 정보 전송(H04L) 분야의 연구개발이 집중되고 있는 것이 특징으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향후 재난안전기술 개발의 방향성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며, 재난안전산업 활성화 및 육성정책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disaster-safety related technologies in Korea and several selected countries such as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were compiled to find core technologies using patent network analysis. Future direction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Korea s disaster-safety industry were also suggested.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signalling systems (G08B), 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G06F), early warning and forecasting data processing systems (G06Q) were found as common core technologies in disaster-safety sector. Among others, pictorial communication (H04N), Manipulater (B25J), climatology (G01W), digital information transmission (H04L), were found to be most active and, therefore, receiving most attentions in USA, Japan, Europe, and Korea, respectivel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used as objective foundation for disaster-safety industry vitalization and for the development of supporting policie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