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Facilities for Long-term Stormwater Reducti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정호(Kim Jung ho) 주진걸(Joo Jin g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7권5호, 337~34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0.30
국문 초록
도시의 자연적인 물순환 체계구축 방안으로 LID 시설의 도입이 장려되고 있으나, LID 시설에 대한 장기 우수유출저감 비교평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EPA-SWMM LID 모형으로 7가지 종류의 LID 시설(식생체류지, 식물재배화분, 나무여과상자, 투수블럭, 침투도랑, 침투통, 침투형 빗물받이)에 대하여 장기 우수유출저감 성능을 비교하였다. 모의기간은 2005~2015년까지이다. 총 11년에 대한 LID 시설들의 평균 저감율은 11.5~77.7% (나무여과상자는 73.0%, 침투통은 11.5%, 식물재배화분은 77.7%, 침투형 빗물받이는 37.7%, 식생체류지는 39.8%, 침투도랑은 66.8%, 투수블럭은 38.6%)로 산정되었으며, 연강수량과 강우강도에 따라 시설들의 성능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LID 시설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introduction of the low impact development (LID) is being encouraged to build up the natural water cycle system in urban a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in LID facility for a long-term period. This study compared seven types of LID facility (vegetation place, plants garden pot, tree filter box, permeable pavement, infiltration ditch, rain barrel, infiltration rain-block) and those performances using EPA SWMM LID modeling in a long-term. The modeling was applied for a period from 2005 to 2015. In 11 years long-term modeling, the range of average reduction was 11.5~77.7 % (tree filter box 73.0%, rain barrel 11.5%, plants garden pot 77.7%, infiltration rain-block 37.7%, vegetation place 39.8%, infiltration ditch 66.8%, permeable pavement 38.6%) depending on the type of LID facility, and we found that the performance in each facility was difference due to the annual precipitation and rainfall intensity. This results are expected to be applied to the design of LID facilities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적용대상 LID 시설의 종류 및 제원
3. 적용 및 결과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