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urrent Mental Health Status and Strategies to Improve Policies in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이지영(Jiyoung Lee) 임재호(Jaeho Lim) 서수연(Sooyeon Suh)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16권 제3호, 149~176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경찰공무원은 민원인과의 갈등, 각종 사고 및 폭력 현장에 대한 노출이 많은 직업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한 높은 직무 스트레스, 정신적 어려움과 트라우마는 즉각적이고 효과적인 치안 서비스에 방해로 작용하게 되고, 경찰 업무수행에 상당한 문제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선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과 관 련된 문제를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한 경찰서의 경찰공무원 278명(평균 연령 45.27±9.00, 남성 88.5%)을 대상으로 양적 및 질적인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6가지 문제 영역의 실태 조사를 하고, 1:1 면담을 통해 심층적인 원인과 이후 개선방안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경찰공무원이 가장 흔히 경험하는 문제는 불면증이었다(52.5%). 이에 더해 73.4%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정신건강 영역 중 한 가지 이상 위험군에 해당하였으나 전문적인 치료 혹은 상담연계는 2.5%만 이어졌다. 이는 경찰공무원의 정신건강 문제에 개입이 필요하지만 상당한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현행 정신건강 증진 정책을 검토하고 실질적인 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매년 시행되고 있는 경찰공무원 심리안정 사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안착되고 발전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Police officers are one of the occupations that are at highest risk for occupational stress, emotional distress, and trauma. Often times, such mental health issues interfere with the performance of police officers in their ability to effectively maintain public 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current mental health status of police officers utiliz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y. Participants consisted of 278 police officers(mean age 45.27±9.00, males 88.5%) in Seoul. All participa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the following domains: depression, suicide, stress, sleep, PTSD, and alcohol. Subsequently,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asons why police officers do not seek treatment, and recommendations to policies to improve mental health in police officers. The results showed most of police officers experienced insomnia(52.5%).
Additionally, 73.4% of the sample reported having at least one at risk symptom of mental health problems. However only 2.5% agreed to seek treatment for these problems. These finding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intervention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police officers, considering the obstacles.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substantive and efficient policies of mental health in police officers are need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