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Trends and Issues of Research on Addiction for Children in Korea : An Analysis of Journal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실(Kim Eun sil)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9호, 485~51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독 연구의 최근 동향을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6년까지 학술지에 게재되고 본 연구의 목적과 일치되는 283편의 논문들을 추출한 후 게재 연도, 중독 종류,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초점을 두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그 절차는 우선 논문분석 기준과 분류방법에 대한 평정지침서를 제작하였으며, 평정자간 일치도 훈련, 평정, 검증의 단계를 거쳤다. 분석결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독 연구는 2003년을 기점으로 늘어나기 시작해 2012년을 전후로 이전보다 더 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연구된 중독 종류는 게임, 인터넷, 휴대폰에 집중되어있고 니코틴/흡연, 알코올/음주, SNS의 순이었으며 도박, 약물, 관계 중독은 매우 적었다. 연구주제는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나 중독이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는 관계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중독 실태 조사, 개입, 예방, 척도, 이론의 순으로 많았다. 연구방법은 95.8%가 양적 연구로 이루어졌으며, 4.2%로 나타난 질적 연구보다 현저히 많았다. 특히 조사연구가 가장 많았고, 실험연구, 문헌연구, 면담연구의 순이었다. 이런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독 연구의 발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recent trends in the research on addiction for children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es on addiction for children wer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publication year, types of addiction, research themes and research methods from 287 papers published until June 200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search on addiction for children began to increase as of 2003 and more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before and after 2012. The most common types of addiction that were studied were game, internet and mobile phone in the order of nicotine/smoking, alcohol/drinking and SNS, and gambling, drug and relationship addiction were very few. In terms of research themes, relationship studies which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diction or the factors to which addiction influences were most common, and it was in the order of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s of addiction, intervention, prevention, scales, and theory.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95.1% were conducted as quantitative studies, which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qualitative studies that were shown to be stood at 4.9%. In particular, survey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reviews and interview research.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ddiction research for children we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