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a use about Interactive text for understanding the poetry text - Based on poetry in Sapyeong Station and novel Sapyeong St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윤(JI YO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9호, 643~6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시 텍스트 이해를 위해 소설 상호텍스트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실제 예를 들어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독자의 스키마를 이용하여 독자의 능동성을 강조하는 읽기 전략은 항상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대안으로, 선행 텍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상호텍스트를 활용할 수 있는데, 텍스트 생산자와 수용자는 선행 텍스트에 대한 지식과 후행 텍스트에 대한 규칙을 인지해야 한다. 이를 ‘징표’와 ‘변형’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징표’와 ‘변형’을 중심으로 상호텍스트가 선행 텍스트 이해에 어떠한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하나의 텍스트가 선행 텍스트에 대한 상호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명인 ‘징표’를 설정하고, 그 하위 범주로 ‘질료적 반복’과 ‘형식적 반복’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상호텍스트가 하나의 텍스트로서 인정받기 위한 증명으로 ‘변형’을 들었는데, 여기서는 이 변형이 선행 텍스트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치라는 점을 설명하였다. 소설 상호텍스트가 시 텍스트 이해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징표’와 ‘변형’을 통해 곽재구의 시 ‘사평역에서’와 임철우의 소설 ‘사평역’을 예로 들어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llustrate how the novel interactive text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text of a poem. Although there have been arguments that mutual text is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eceding text, it has often be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a parody. Therefore, the study identified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text with respect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receding text with respect to ‘marking’ and ‘variations’.
Set the marking to verify that a single text is a mutual text for the preceding text, and set the regional repetition and formal repetition in that sub category. And as the mutual text has been shown as a proof to be recognized as a single text, it has explained that this transformation is a device that can aid in understanding the preceding text.
The novel cited examples from Kwak Jae-gu “in Sapyeong station and Lim Cheol-woo s novel Sapyeong St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텍스트 이해와 상호텍스트 활용
Ⅲ. 시 텍스트 이해를 위한 소설 상호텍스트 활용의 실제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