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munity Trajectory Development of Youth and Predicto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 영(Park, Yeoung) 허원구(Heo, Wong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8호, 131~15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 및 예측요인을 규명하는 종단연구이다. 연구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의 중1 코호트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1차(2010년)에서 5차(2014년)까지 5개 연도에 걸쳐 모두 응답한 1,988명을 균형패널자료를 사용하여 잠재성장모형(Latent Growth Model)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선 형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초기값과 변화율에 개인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측요인의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적응, 지역사회인식, 다문화수 용도, 건강상태인식, 성별이 정적(+)관계에서 유의하였다. 공동체의식 변화율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적응, 지역사회인식, 방임학대, 다문화수용성, 건강상태인식이 부적(-)관계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longitudinal study identifying Community Trajectory Development of Youth and Predi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development. For the study, one of the 1 cohort data of the Korean Youth and Children Panel Survey was used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1st (2010) to the 5th (2014). A total of 1,988 respondents were analy z ed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using balanced panel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ajectory of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showed a linear trend with time, a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Second, factors influencing the initial value of predictors were school adaptation, community awareness, multicultural acceptance, health status perception, and gender were significant in positive relationship (+).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of community consciousness were school adaptation, community awareness, abuse, multicultural acceptance, health status were significant in negative relationship (-). Through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consciousness of youth was cove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