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 A Study on Usefulness of T-spine Breathing-technique for Improving Image Quality at Simple-exam of Thoracic Spine -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김광수(Kwang-Soo Kim) 손순룡(Soon-Yong Son) 이관섭(Kwan-Sup Lee) 하동윤(Dong-Yoon Ha)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2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국문 초록
urpose: 흉추 단순촬영에서 기존의 심호기법을 지양하고, 환자의 자연스런 호흡 상태에서 촬영하는 T-spine breathing technique 을 적용하여 화질개선을 통한 임상적용의 유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Materials and Methods: 2011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척추질환으로 본원을 내원하여 척추단순검사(흉추측면검사)를 시행한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옆으로 누운자세에서 기존의 심호기법과 T-spine breathing technique을 병행하 였다. 화질평가는 전문가 9명이 spinous process, pedicle, vertebral body, intervertebral foramen, disc space, C-T junction, density uniformity의 7개 평가 요소를 5점 Lickertis scale를 적용하여 시각적 평가를 하였다. 환자피폭선량 측정은 인체 성인팬텀 3 곳(C-T junction, T7, T-L junction)에 유리선량계를 삽입시킨 다음, 각 3회씩 조사하여 평균으로 비교하였다.
Results: 심호기법과 T-spine breathing technique으로 촬영한 영상을 5점 척도로 비교한 결과, spinous process, pedicle, vertebral body, intervertebral foramen, disc space, C-T junction, density uniformity 등 전 분야에서 T-spine breathing technique이 우수 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피폭선량은 흡수선량의 경우 C-T junction과 T-L junction에서는 심호기법에서 평균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T7부 위에서는 T-spine breathing technique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
입사표면선량도거의 비슷하게 측정되어 검사기법 간 피폭선량의 차이는 없었다.
Conclusion: 기존의 심호기법에 비해 T-spine breathing technique으로 촬영한 영상은 화질평가에서 우수하고 우려했던 피폭선량의 증가도 없어 여러 의료기관의 적용 시 매우 유익 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refrain existing exhalation-technique at simple-exam of thoracic spine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about clinical-application of image quality improvement through T-spine breathing technique(even breathing state) appli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1 October u ntil 2 012 February, This study conducted ta rgeting 30 patient who with spondylopathy visited this hospital. The same patient on lateral recumbent had carried out both existing exhalation and T-spine breathing technique. Image quality evaluation carried out visual evaluation applies Lickertis scale of 5 point scale (7 assessment parameters; spinous process, pedicle, vertebral body, intervertebral foramen, disc space, C-T junction, density uniformity).
Dose measurement has compared average of each the three times exposure glass dosimeter in serted RANDO-phantom three places (C-T junction, T7, T-L junction).
Results: R esult of comparing to both technique by 5 point scale. T -spine breathing technique was More useful from whole parameter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highly significant (p <.01). Whereas exhalation technique at C T ju nction and TL junction showed higher average dose, Absorbed dose of T7 site in T-spine breathing technique was higher,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T-spine breathing technique is excellent in Image quality evaluation, and without worry about increase dose.
Therefor, T-spine breathing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extremely helpful to various medical institutions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