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 Comparison Study on CNR and SNR of Thoracic Spine Lateral Radiography -
- 발행기관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 저자명
- 이정화(Jeong-Hwa Lee) 손순룡(Soon-Yong Son) 정재연(Jae-Yeon Jung) 이관섭(Kwan-Sup Lee) 하동윤(Dong-Yoon Ha)
- 간행물 정보
-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2013년 춘계학술대회 논문지,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국문 초록
측면검사에서 기존의 심호기법과 환자의 자연스런 호흡 상태에서 촬영하는 T-spine breathing technique의 대조도 잡음 비와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여 적절한 검사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6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척추질환으로 본원을 내원하여 흉추 측면 검사를 시행한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일한 환자를 대상으로 측면 선 자세에서 기존의 심호기법과 T-spine breathing technique을 병행하였다. 화질 평가는 흉추 측면검 사의 평가요소 중 5곳(극돌기, 추궁근, 추체, 추간공, 추간)을 PACSPLUS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관심영역을 정하고 화소의 평균과 대조 농도와의 차이를 구하여 대조도 잡음 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Image J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추체에 관심영역을 정하여 화소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신호 대 잡음 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심호기법과 T-spine breathing technique으로 촬영한 영상을 대조도 잡음 비로 비교한 결과, T-spine breathing technique이 극돌기, 추궁근, 추체, 추간공, 추간의 모든 구조 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p<.01). 신호 대 잡음 비 또한 T-spine breathing technique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였다 (p<.01). 연령, 성별,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도와 심호기법 및 T-spine breathing technique의 대조도 잡음 비와 신호 대 잡음 비의 상관관계는 특별한 의미가 없었다.
결론: 기존의 심호기법에 비해 T-spine breathing technique으로 촬영한 영상은 우수한 화질을 제공하므로 이를 토대로 임상에 혼재되어 있는 흉추 측면 검사법을 재정립하고, 여러 의료기관에 적용할 경우, 유용성이 크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찰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