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of Genre Literacy in College Writ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록희(Kim Rok Hui) 정형근(Jeong Hyeong Geu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8호, 353~37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르문식성 개념을 고찰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장르문식성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장르문식성은 장르를 매개로 의미와 관계를 구성하고 협상해가는 의사소통능력으로, 전문화된 의사소통능력을 갖추기 위해 다양한 장르를 읽고 써야하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길러야 하는 능력이다. 이에대한 교육적 실천의 시도로 칼럼을 교육 장르로 선정하고, 칼럼 쓰기를 위한 상호작용적 교수 학습 절차를 구안하였다. ‘사고와 성찰-모델링-공동 협상- 몰입-전이-사고와 성찰’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절차는 명시적 교수법과 암묵적 교수법을 상호적으로 활용하고, WAW(Writing About Writing)를 통해 글쓰기에 대하여 사고와 성찰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stablishes the concept of genre literacy through the main concepts and features discussed in genre-based writing education and suggests ways to improve genre literacy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Genre literacy is the ability to communicate and construct meaning and relationship through genre, and to develop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where various genres should be read and written in order to have specialized communication ability. We selected column as education genre as an attempt of educational practice to improve genre literacy in college writing class, and found out interactiv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column writing.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consisting of Thinking and reflection-modeling-joint negotiation-commitment-learning transfer -thinking and reflection. , explicit and implicit teaching have been mutually utilized, and WAW(Writing About Writing) was designed
to allow thinking and reflection on writing.
목차
Ⅰ. 서 론
Ⅱ. ‘장르’, ‘문식성’, ‘장르문식성’의 개념 고찰
Ⅲ. 장르문식성의 주요 요인에 대한 기존 논의
Ⅳ. 장르문식성 향상을 위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