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Clinical Practice on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정현(Jung-Hyun Kim) 김낙상(Nak-Sang Kim) 양한준(Han-Joon Y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40권 제3호, 493~49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30

국문 초록
임상실습 교육과정이 자기학습 발전능력 정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수도권에 소재한 방사선학과 3, 4학년생을 대상으로 121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7±0.85로 5점 척도의 기준으로 할 때,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제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에 대한 결과는 전체 평균은 3.07±0.85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학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학과 선택 동기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결과는 학과의 취업률이 높다고 판단하여 입학한 학생군 (3.58±0.85)이 높은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을 보였으며, 자아적성에 적합하여 입학한 학생군(2.30±0.40)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진로선택 방향에 따른 자기학습 발전능력의 전체 평균은 3.08±0.76로 보통 이상의 자기학습 발전능력 수준으로 진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임상실습 시 자기학습 능력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아울러 통계적 유의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은 문제점과 다양성을 제시하고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analyze the degree of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after the clinical training curriculum, the results of 12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for 3rd and 4th grade students in radiology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overall average of self-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gender was 3.07±0.85,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ender. However, the results according to educational system showed that the overall average was 3.07±0.85, which was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of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ducational system. The results of the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depart-ment show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chosen their department due to their higher employment rate after graduation had high self-development ability level(3.58±0.85) but the students who entered the school due to self-aptitude had relatively lower self-development ability level (2.30±0.40). The overall average of self-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direction of career path was 3.08±0.76, which was over-average of self-learning development ability. Thu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areer pa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lf-learning ability in clinical practice. In addition, the lack of statistical significance suggests problems and diversity.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