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Occurrence of Placer Gold Deposits from the Takaoi Area of the Middle Kalimantan, Indonesia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인준(In-Joon Kim ) 이재호(Jae-Ho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9권 2호, 191~2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국문 초록
사금광상은 주로 따까오이 지역에 분포한다. 충적층은 미고화 또는 반고화된 자갈층, 사질층과 토양층으로 구성된다. 이들은 석탄기-페름기 편암과 백악기 화강섬록암위에 부정합으로 놓인다. 상 분석에 의하면 충적층은 하도 충진의 자갈과 모래 퇴적광상 및 범람원 토양광상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하성퇴적광상으로 사료된다. 금 입자는 주로 자갈층내에 함유되어 있으며, 자갈층을 구성하는 역들 중에서 석영맥 기원의 역들만이 금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원암이 석영맥이었고, 이동과 삭박작용 동안 석영맥으로부터 금입자가 분리되었음을 지시한다. 이 지역에서의 금 매장량은 최소 792 kg에 달한다.
영문 초록
Placer gold deposits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Takaoi area. The alluvium is unconsolidated or semiconsolidated
deposit consisting of gravel, sand, and soil beds in ascending order. They unconformably overlies the Carboniferous-
Permian schist and Cretaceous granodiorite substratum. Based on detailed facies analysis, the alluvium can be
interpreted as a typical fluvial deposits containing gravel and sand beds of channel-fill unit and soil deposit of
floodplain. Gold grains are included mainly in the gravel bed and vein quartz is only contained gold among all
kinds of gravels. These features indicates that the source rock of the gold grain is vein quartz and gold grains are
separated from vein quartz during transport and abrasion. The reserves of gold in this area reach to at least 792 kg.
목차
1. 서 론
2. 지질 및 구조
3. 금광상의 산상
4. 금광상의 품위
5. 사금의 화학조성과 물리적 특징
6. 사금광상의 퇴적특성과 규모
7.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