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691

영문명
Sales Price Determinants of Multiplex Housing in Seoul
발행기관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저자명
김남현(Nam-hyun Kim) 오세준(Sae-joon Oh)
간행물 정보
『부동산 도시연구』제10권 제1호, 171~18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8.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세대주택은 아파트 가격의 상승, 1~2인가구의 증가 등과 더불어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1990년 11만5천호에 불과했던 다세대주택이 2015년에는 약 190만호까지 늘어났으며, 이는 전체 주택 유형 중 11.6%에 달하는 수치이다. 하지만 주택관련 연구는 아파트에 편중되어 왔으며 다세대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그 양과 다양성 측면에서 저조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격결정 요인들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다세대주택 관련 정책 및 서민주거환경 개선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서울시내 12개 구 26개 동에서 분양 된 다세대주태 자료를 구득하여 실증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가격이 높게 형성된 지역일수록 다세대주택의 분양가도 높게 형성되었다. 입지적, 주거 편의적 측면에서 유리할수록 분양가격에 양(+)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건물특성에서는 주차공간의 확충이 가격에 유리한 영향을 미치며, 세대수가 많을수록, 보안이 강화될수록, 경과년수가 짧을수록, 접면 도로폭이 넓을수록 분양가격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셋째, 주호특성으로는 저층보다는 중고층이, 화장실수가 많을수록, 복층일수록, 전용면적이 작을수록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생활보장, 보안, 일조권 측면에서 저층보다 고층일수록 유리하기 때문에 분양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1~2인 가구 및 서민을 위한 주거지로서 공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동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않았던 다세대주택 분야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Multiplex housing has been increasing in quantity due to the rise of apartment prices and the increase of single unit households. The number of multiplex housing units, which amounted to only 115,000 in 1990, increased to about 1.9 million in 2015, which 11.6% of all types of housing. However, the majority of residential housing research focuses on apartments, and researches on multiplex houses are scanty.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factors determining the sales price of multiplex housing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future housing polici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housing prices are high in an area, the price of multiplex housing is high as well. Second, expansion of parking space has a positive effect on price. The more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higher the safety, the shorter the building age, and the wider the road, the higher the selling price. Third, in terms of unit characteristics, price is higher if there are more bathrooms and less exclusive use space.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the market for multiplex housing which is the major type of housing for single households and low-income househol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증분석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현(Nam-hyun Kim),오세준(Sae-joon Oh). (2017).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 도시연구, 10 (1), 171-186

MLA

김남현(Nam-hyun Kim),오세준(Sae-joon Oh). "서울시 다세대 주택의 분양가격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 도시연구, 10.1(2017): 171-186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