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s and Geohazard Pertinent to Fault-damage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손문(Moon Son) 이선갑(Son Kap Lee) 김종선(Jong Sun Kim) 김인수(In-Soo Kim) 이건(Kun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0권 1호, 87~1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국문 초록
부산시 도심지 지하 지질과 지질구조 그리고 단층손상에 의한 지질위험도를 해석하기 위해 위성영상 및 전산음영기 복도, 203개의 시추공 검층, 텔레뷰어, 그리고 지구물리 탐사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구지역 지하 지질은 백악기 안산암질∼데사이트질 화산암류, 반려암,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래단층을 비롯한 최소 3개의 단층파쇄대가 존재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지형적 특성, 지질단면상의 파쇄대의 폭과 제4기 퇴적층과 기반암 풍화잔류물의 심도 분포 등을 근거로 할 때, 연구지역의 동래단층은 북쪽으로 갈수록 파쇄대의 폭과 파쇄강도가 줄어들며연구지역 북부의 서면교차로와 양정교차로 사이 지역에서 분절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서면교차로보다 남쪽의 도심지 계곡부는 대부분 제4기 동안 해침을 경험한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단층핵과의 거리, 코아회수율, 암질지수, 일축압축강도, S파 탄성파 속도를 입력변수로 작성된 지질위험도는 연구지역의 지하 단층들에 의한 기반암의 손상정도를 가시적으로 표현하는데 유용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평가방법은 기존 암반분류법을 보완하고 지질학적 요인들을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암반평가를 실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A variety of informations obtained from satellite image, digital elevation relief map (DEM), borehole logging,
televiewer, geophysical prospecting, etc. were synthetically analyzed to investigate subsurface ge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o evaluate geohazard pertinent to fault-damage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It is
revealed that the geology is composed of the Cretaceous andesitic~dacitic volcanics, gabbro, and granitoid and that
at least three major faults including the Dongrae fault are developed in the study area.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fault-fractured zone, and isobath maps of the Quaternary sediments and weathered residuals of the basement, the Dongrae fault is decreased in its width and fracturing intensity of damaged zone from south toward north, and the fault is segmented around the area between the Seomyeon and Yangjeong junctions. Meanwhile, we drew a geohazard sectional map using the five major parameters that significantly suggest damage intensity of basement by fault, i.e. distance from fault core, TCR, RQD, uniaxial rock strength, and seismic velocity of S wave. The map is evaluated as a suitable method to express the geologic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fault-damaged intensity of basement in the study area. It is, thus, conclud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contribute to complement and amplify the capability of the present evaluation system of rock mass.
목차
1. 서 론
2. 일반지질
3. 결과 및 해석
4.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