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김민석 김진관 양동윤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0권 1호, 103~11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2.28

국문 초록
GIS와 연계시켜 만든 분산형 모델의 대표적인 경험식인 USLE model과 물리학기반의 GeoWEPP model을 경기도 이천시에 위치한 소유역에 적용하여 2004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1년간의 토사유출량을 비교하였다. 연구기간동안의 유출된 토사량은 실제관측결과 270.54 ton, USLE 모델 적용 시 358.1 ton, 그리고 GeoWEPP 모델 적용 시283.30 ton 으로 각각 산출되었다. 각각의 모델을 적용한 산출량은 실제 산출량보다 과대하게 산출되었으며, 산출결과만을 볼 때, GeoWEPP 모델을 적용한 토사유출량이 USLE 적용 산출량 보다 관측량에 더 근사한 산출량을 보였다. 모델 적용 산출량이 과대산출 된 원인으로는 실험웨어를 월류하여 빠져나간 부유물에 대한 양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empirical USLE and the physically-based GeoWEPP which were distributed model linked with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were applied to small natural catchment located in Icheon-si, Gyeonggi-do, South
Korea. The results using by two models were total sediment yield from study catchment between January, 2004 and
January, 2005. During the study period, the observed total sediment yield was 270.54 ton and the total sediment
yield computed by USLE and GeoWEPP model were 358.1 ton and 283.30 ton, respectively. Each of results computed
by USLE and GeoWEPP overestimated more than the observed total sediment yield, but, based on the
results, the total sediment yield computed by GeoWEPP approximated to the observed result. We suggest that the
reason why the total sediment yield using by models overestimated was that computed amounts by two models did
not contain the amount of suspended sediment flowed over the weir
목차
1. 서 론
2. Model의 기본 이론
3. 연구지역
4. 토사유출량 관측 및 모델 자료 입력
5. 토사유출량 산정결과 및 토론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