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dentity of Social Welfare Studie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백인립(In Rib Baek)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36권, 297~33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0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경제학적 분석에 기초하여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에 대해 새롭게 정의를 내리고, 21세기 현재 한국 시민들이 지닌 복지욕구에 기초하여 사회복지가 포괄하는 영역을 재정립해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 먼저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 예를 들어 사회사업, 사회서비스, 사회정책 등의 용어들이 미국, 일본, 영국, 독일, 스웨덴, 한국 등 총 6개국에서 역사
적으로 어떤 용법으로 쓰였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이 과정 이후 철저히 정치경제학에 기초하여 복지, 사회복지, 복지국가, 사회복지정책, 사회복지제도, 사회복지법 등 사회복지 관련 용어들에 대해 새롭게 정의를 내려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재정의 작업 이후 오늘날 한국 시민이 직면한 복지문제에 기반하여 사회복지의 영역을 5가지로 새롭게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사회복지학의 출발점이 인본주의였음을 밝히면서, 이러한 전통을 정치경제학에 기초한 사회복지에 대한 정의와 결합시키는 작업을 통해 21세기 한국사회에 적합한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을 찾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terms related to social welfare on the basis of political economy and to reconstitute the areas to be included i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welfare needs of Korean citizens in the 21th century. First, the existing usages of the words related to social welfare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histories of the USA, Japan, the UK, Germany, Sweden and Korea. Then, this study tried to redefine the terms related to social welfare, ex) welfare, social welfare, welfare state, social welfare policy etc., on the basis of political economy. It attempted also to reconstitute the areas to be included in social welfare based on the current welfare needs of the Korean citizens. Finally, through distinguishing social welfare studies from the welfare studies of other academic fields, this study tried to insert humanism into the understanding of social welfare in the view of functionalism.
목차
Ⅰ. 서론
II. 기존의 사회복지 관련 용어와 그 용법
III. 정치경제학에 기초한 사회복지 관련 용어 재정의
IV. 사회복지 영역에 대한 재구성
V. 결론: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