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relating to the poverty status of female household head wokers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 저자명
- 배진희(Bae, Jin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24권, 131~15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7.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임금 근로 여성 가구주의 경제적 지위 정도와 인적자원, 가족환경, 노동 환경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 제 1차 조사 자료 중 임금 근로 여성 가구주에 해당하는 377사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임금 근로 여성 가구주 가구 소득이 기초생계비 이하인 가구가 15.0%였고, 근로빈곤층 분류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초생계비 150%이하인 가구는 32.2%에 달했다. 여성 가구주의 월 급여만을 기준으로 할 경우 26.1%가 기초생계비 이하의 수준이었고 기초생계비 150%이하인 경우는 43.4%에 달했다. 그리고 임금 근로 여성 가구주의 연령, 학력, 돌봄노동 부담, 사업장의 가족친화정책이 경제적 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human capital, household characteristics, labor market status factors affecting the poverty status of female household head workers. I used th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 Families(KLoWF) data. Major Finding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percentage of the household that the income of female-headed household is lower than the absolute poverty thresholds is 15%. And the percentage of the household that the income of female-headed household is lower than the absolute poverty thresholds 150% is 32.2%. Second, age, education, burden of caring and family-friendly policies influence the poverty status of female-headed household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 implications are suggested for improving the chances of escaping the pover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