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b-alkaline Basalt in the Udo Island, Jeju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진수(Jin-Soo Lee)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7권 6호, 601~6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국문 초록
제주도 동편의 부속섬인 우도는 일윤회 분출에 의해 형성된 단성화산체로서 해저에서 초기 서쩨이언형(Surtseyan-type)의 폭발성 화산분화에서 시작되고 마지막 용암분출(로 섬 전체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 머리현무암은 서브알칼리계열로서 미량원소 및 희토류원소의 지화학적 특성은 섭입대에서 생성되는 쏠레이아이트일 가능성보다는 지각판내부에서 생성된 쏠레이아이트임을 지시하며, 이는 마이오세 말기 이후의 한반도의 화산활동은 태평양판과 필리핀해판인 해양판의 섭입 영향을 받지 않는 지구조적 환경으로 변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Udo is the site of a short-lived monogenetic submarine volcanic vent which builts basaltic clastic deposits below sea level, by early Surtseyan-type explosive eruption and later effusive lava eruptions. Mineral assemblage, major and trace element chemistry indicate that the Someori sub-alkaline lava flows were related to the WPTB(within plate tholeiitic basalt) rather than IAT(island-arc tholeiite) and that the geotectonic regime of Korean Peninsula went away from the subduction zone after the Later Miocene.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우도의 지질 및 소머리현무암의 암석특징
4. 소머리현무암의 암석지화학적 특징
5. 토 의
6.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