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연희 지정만 오재경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37권 2호, 153~17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4.30

국문 초록
하상퇴적물은 기반암의 풍화에 의해 가장 직접적인 여향을 받기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 상류인 남한강유역과 북한강 유역의 하상 퇴적물을 대상으로 지화학적 분석자료를 통해 인근육상암석과의 상관관계와 근원암에 관하여 유추하였다. 지화학적 분석을 통해 연구지역 하상퇴적물들의 주성분원소, 미량성분원소, 희토류원소 등의 분석자료를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지역 주성분 원소들의 분산 경향성은 남한강 하상퇴적물의 경우 산성 화성암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내었고, 북한강 하상퇴적물 역시 산성 화성암의 일반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두 지역의 주성분 원소 분산 경향성은 서로 유사한 분산경향을 나타냈으며, 미량 성분 원소의 함량치 역시 두 지역에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희토류원소의 REE pattern은 두 지역 모두 Eu에서의 부의 이상이 뚜렷하게 나타내며 산성 화성암 기원의 회토류원소 pattern과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희토류원소의 함량에 있어서의 남한강 하상퇴적물에 비해 북한강 하상퇴적물의 함양이 훨씬 높게 나타났다. 중광물은 남한강 하상퇴적물의 경우 주로 투각섬석-양기석, 적철석·자철석이 관찰되었고, 북한강 하상퇴적물의 경우 투각섬석-양기석, 보통각섬석이 대체로 관찰되었다. 그 밖에 티탄철석, 석류석 군, 녹염석, 금홍석, 스핀 등이 소량 관찰된다. 이는 두 지역의 인근 유역 육상지질이 대체로 변셩암류와 화성암류가 주를 이루는 점과 조화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지역인 남한강과 북한강의 하상퇴적물은 대부분 화성암 기원 또는 변성암 기원의 성분으로 구성되며 퇴적암 기원의 성분은 거의 전부 뜬짐 또는 녹은짐으로 제거된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fine the geochemical and mineralogical relationship between stream sediments and reglonal geology on upstream of Hahn river area (ieochemical characteristic including for major elements, trace elements and rare earth elements of the South and North Hahn rive bed sediments are similar to those of acid igneous rocks which are distributed around both Hahn rive basin. The chemical variation of major elements against SiO₂and trace elements contents between South and North Hahn river bed sediments doesn`t show the difference. REE patterns of both area show a distinct negative Eu anomaly, but total contents of rare earth elements are higher in North Hahn river sediments than South Hahn river sediments. The heavy minerals in the river bed sediments in this study area are identified as tremolite-actinolite, hematite-magnetite, common hornblende, ilmenite, garnet, epidote, rutile and sphene. In conclusion, it is slucidated that South and North Hahn river bed sediments are being originated from igneous rocks or metamorphic rocks which contains medium-high grade metamorphic minerals and components of originated from sedimentary rocks those of pelitic or calcareous rocks are eroded away as solution or suspended loa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