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gradation of TPHs, TCE, PCE, and BTEX Compounds for NAPLs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Using In-Situ Air Sparging Combined with Vapor Extraction
- 발행기관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 저자명
- 이준호(Jun-Ho Lee) 한선향(Sun-Hyang Han) 박갑성(Kap-Song Park)
- 간행물 정보
- 『자원환경지질』46권 5호, 425~4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지질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0.30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공기주입법(in-situ air sparging; IAS)이 결합된 증기추출법(vapor extraction; VE)을 이용한 실내 실험
연구로 비수용성액체 유기물(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의 총유류계탄화수소(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트리클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TCE), 퍼클로로에틸렌(perchloroethylene; PCE), 벤젠(benzene), 톨루엔
(toluene), 에틸벤젠(ethylbenzene) 및 크실렌(xylenes)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국내 만돌, 하전, 상암, 부산만내 해
양 퇴적물들을 대상으로 실험 하였다. 만돌 퇴적물은 사질(sand; S) 특성(평균입도 1.789 Φ), 하전은 모래실트(sandy
Silt; sZ) 특성(평균입도 5.503 Φ) 및 상암은 실트(Silt; Z) 특성(평균입도 5.835 Φ)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부산지역 퇴
적물은 점토(Clay; C) 특성(평균입도 8.528 Φ)을 나타내었다. 48시간 동안 공기를 주입하지 않은 B1 (0 L/min) 컬럼
에서 남아있는 TPHs는 만돌, 하전, 상암지역 및 부산지역 샘플퇴적물에서 각각 약 2,459, 6,712, 4,348, 14,279 ppm
으로 분석 되었다. 그리고 만돌, 하전, 상암지역 및 부산지역 샘플퇴적물의 B2 (3 L/min)-B5 (5 L/min) 컬럼에서
TCE는 99.5-100.0% 제거되었으며, PCE는 93.2-100.0%까지 제거된 결과를 보였다. 입자크기에 따른 각 성분의 제거
량과의 상관관계는 TCE, PCE, toluene, etylbenzene, xylene, BTEX에서 모두 0.90-0.99의 밀접한 상관계수를 보였
다. 그러나 TPHs에서는 0.76, Benzene에서는 0.71의 낮은 상관계수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determine the remediation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trichloroethylene(TCE), perchloroethylene (PCE),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xylenes (BTEX) compounds for non-aqueous phase liquids (NAPLs) using in-situ air sparging (IAS) / vapor extraction (VE) with the marine sediments of Mandol, Hajeon, Sangam and Busan, South Korea. Surface sediment of Mandol area had sand characteristics(average particle size, 1.789 Φ), and sandy silt characteristics (average particle size, 5.503 Φ), respectively.
Sangam surface sediment had silt characteristics (average particle size, 5.835 Φ). Sediment characteristics before
experiment in the Busan area showed clay characteristics (average particle size, 8.528 Φ). TPHs level in the B1
column of Mandol, Hajeon, Sangam, and Busan sediments were 2,459, 6,712, 4,348, and 14,279 ppm. B2 (3 L/
min) to B5 (5 L/min) columns reduced 99.5% to 100.0% of TCE and 93.2% to 100.0% of PCE. Removal rates of
TCE, PCE, and BTEX are closely correlated (0.90-0.99) with particle sizes and organic carbon concentrations.
However, TPHs (0.76) and benzene (0.71) showed the poorer but moderate correlations with the same paramet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