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rt Therapy Program for Emotional Stability and Self-Esteem of Stud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 경(Kim Kyo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17호, 353~37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15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정서안정과 자존감을 증진하도록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술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인터뷰는 1주일 간격으로 1차, 2차로 진행되었다. 도출된 미술치료프로그램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터뷰가 끝난 후 1주일 후 전문가 집단의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내용에서는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총 회기, 단계, 활동제재, 활동형태, 활동목표, 활동순서가 도출되었다. 둘째, 2차 포터스 그룹 인터뷰 내용에서는 활동제재 단계별 구분, 활동제재와 활동목표, 활동형태에 적합한 활동재료 설정, 지적장애학생 장애정 도에 따른 분류, 프로그램 실시 강사, 시간, 장소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타당화 과정에서는 16회기 프로그램 중 10회기에 대한 재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의 견을 나눈 후, 색종이 외 다양한 재료 등을 부가적으로 적용하는 것으로 수정되었다. 이로써 미술치료프로그램의 세부안이 확정되고, 최종적으로 미술치료프로그램이 개 발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therapy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 - esteem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as developed to develop the art therapy program, and focus group method was composed of planning, recruitment, progress and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ssions, and an advisory group of experts was held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art therapy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 , the total session , phase , activity sanction. the form, activity goal, activity order were derived. Second, the contents of the second Porter s group interviews are divided into stages of active sanctions, activity material setting, classification according to degree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student disability, program execution instructor, program time, program place, etc. were derived. Third, in the program validation process, after discussing the
applicability of material for 10 sessions of 16 session program, it was modified to apply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colored paper. As a result, the details of the art therapy program were confirmed, and finally the art therapy program was develop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